본문 바로가기
중동시장

중동 유통 시장 정보 2 (GCC Retail Industry)

by 빨강 앵무새 2023. 9. 3.

[GCC 유통 시장 현황]

중동 지역 유통시장에 관한 그래프

  • COVID -19 이후 전자상거래를 주축으로 소비패턴의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음.
  • 밀레니얼 세대 증가와 외국인 거주자의 증가로 디지털 채널을 통한 글로벌 브랜드와 세계 식품의 수요 증가
  • 팬더믹 으로 인한 외부 활동 축소와 잘못된 식습관으로 당뇨, 비만, 심혈관 질환 유병률 증가 → 건강 식품과 유기농 식품에 대한 관심 증가

[GCC 국가별 유통시장 현황]

  • 2022년~2026년 연평균 성장률 추정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[단위: 조원,%]

국가 유통시장(2026) CAGR
사우디아라비아 247 6.5%
UAE 159 5.1%
쿠웨이트 38 3.5%
카타르 30 3.5%
오만 23 6.1%
바레인 22 7.3%
  • 사우디아라비아, UAE가 이지역의 유통시장을 주도할 것이며 지역 전체의 78%를 차지
  • 오만과 바레인 같은 작은 국가는 여행객의 증가와 GDP 증가에 따른 소매시장 성장을 예상
  • 2026년 전체시장의 47.7%가 사우디아라비아. UAE가 30.8%, 쿠웨이트 7.1%, 카타르 5.7%를 차지

중동에는 여러 나라가 있으나 소비시장이 활성화된 곳은 GCC 연합의 국가 인것 같다. 사우디가 최근 빈살만을 중심으로 많은 변화를 꾀하고 있는데 외국인들에게 어떠한 형태로 변화가 느껴지는 지는 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. 이러한 국가들이 우리나라와 많은 좋은 영향이 오고 갔으면 하는 바램이다. 다음 편에는 국가별 소매시장에 대하여 정리를 해보아야 겠다.